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3프로TV정리] 중국 전기차의 경쟁력 - 찐링 중국주 전문가

by 공돌이0910호 2022. 9. 4.
반응형

저는 공돌이라...차를 좋아하고 차에 관심도 많습니다. (포르쉐!!머슬카!!!)

다들 아시다시피 자동차의 트랜드는 기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옮겨가고있지요.

그리고 추가로 보면 자율주행 정도가 산업의 특이점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국내에서 전기차의 비율은 아직 미비하지만

중국은 자국내 꽤 공격적으로 전기차를 공급하고있습니다. 인프라도 꽤 빠르게 깔리고있지요. (땅덩어리 생각해보면...)

 

아래 삼프로에서는 BYD 자동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있는데,

중국내 많은 전기차 회사중 공격적으로 해외진출을 하고있는 회사중 하나라고 하네요.

 

 

대충 이렇게 생긴차인데....디자인은 그럴 싸 해보이네요 (근데 빨간색이 너무 중국틱...) - 조선경제 기사캡쳐

 

그리고 한국내 판매도 준비중이라는 기사가 있습니다.

 

과연....? 성공할까요...??

 

일단 아래 삼프로 링크와 정리부터 보시죠

 

https://youtu.be/1MlqL-5hs-I

 

 

1. 워렌버핏의 매도

워렌버핏 - 중국전기차 BYD 지속 매도중, BYD 아니라 다른 종목도 있을것으로 예상.

글로벌 경기에 대한 태도도로 있다.

지금 매도에 대한 뉴스에 집중하기보다 이 이후 워렌버핏 및 글로벌 투자회사 등이 어떤종목을 매수하는지를 보는게 오히려 바람직하다.

현금화를 위한 리밸런싱의 목적 - 마냥 악재라고 볼순 없다.

 

2. 중국 전기차의 해외진출

유럽/태국으로 진출하는 중국전기차 업체가 나오고있다

내수가 메인이지만 해외수출이야기도 나오고있다

 

2022년 상반기 유럽 내 전기차 판매순위, 테슬라가 압도적이군요. 현기차도 꽤 보입니다. - 삼프로 영상캡춰

 

유럽 판매량은 대부분이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회사

위 화면중 파란색 마킹은 중국기업 소유의 자동차 회사 (폴스타/MG)

 

내년부터 중국전기차의 진출이 속도가 붙을 것이다.

 

3. BYD의 해외진출

BYD 타겟 - 유럽/일본/태국

공격적인 진출 진행중

 

  • 유럽

현지딜러사와의 협력이 필요, 노르웨이 첫수출

 

  • 일본

3개모델 소개, ATTO3/DOLPHON/SEAL

대리점100군데를 개설예정 (참고로 토요타 등 기존자동차 대리점은 수천여개)

 

  • 태국

충전인프라가 아직없음

현지 충전소 업체와 1000개의 충전소 개설예정

 

4. 브랜드 가치

중국의 브랜드가 유럽/일본 브랜드들과 브랜드가치에 대한 차이가 있지않나?

중국 성장은 계속하지만 내수 시장의 치킨게임이 시작되었다

지금 해외로 진출하지 않으면 추후에는 더 어려울것으로 예상

 

유럽에서 중저가 브랜드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있다 -> 이를 노리는 확장은 긍정적으로 전망

브랜드의 이미지 변화도 이루어지고있다

 

5. 중국 전기차 ETF 관련

지금이 기회? Or 리스크관련? 미래에셋 ETF가 존재

연말까지 하락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중국경기 둔화

제한된 거래량

리밸런싱의 타겟이 없다 (새로운 곳이없다)

2020 5 이후로 전기차가 많이올랐다.

지금3년차, 경쟁력이 있다고하더라도 3년의 기간이 있기때문에 수익률의 제한이 있을것이다

 

6. 그 외

한국자동차회사 입장에서 유럽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질것이다

프리미엄 브랜드(테슬라) vs MASS 브랜드

MASS 마켓이 어떻게 될지 지켜볼 필요가있다

 

 

개인적으로 찐링이라는 분의 앞을 보는 시각이 괜찮아보였습니다.

예를 들면 워렌버핏이 매도중인것에 집중하기보다 앞으로 어떤방향으로 가는지를 집중할필요가있다...는 그런 시각은 

주식투자를 해서 수익을 바라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좋은 관점이라고 봅니다.

 

자동차는 자산으로의 가치와 소비재로의 가치가 공존하기때문에

한번 구매를 하거나 교체를 할때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마련입니다. 들어가는 돈의 액수도 크죠.

따라서 브랜드이미지 및 안정성, 혹은 더 나아가 그 나라에 대한 이미지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우리나라에서 렉서스 싫어하시는 분들 아직 많죠)

지금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가 좋지않은 상태에서

중국 자동차 회사의 국내 진출이 성공적일 것이냐? 에 대한부분은 의문이 많습니다. 

저같아도 중국전기차는 안 살것같거든요..

 

아무리 가격이 저렴해도 그걸 굳이...?

 

 

다만 현대자동차 및 테슬라 등에 대해 관심이 있으시다면

중국회사가 글로벌 마켓에 진출하는 부분은 눈여겨봐야할 부분이라고 봅니다.

6번 항목에 나와있듯, 자동차는 매스와 프리미엄으로 크게 양분할 수 있고

프리미엄을 넘사벽이라고하면

매스에서 치고박고 싸워야하는데

중국 전기차의 물량공세와 가성비를 내세우기에 이 매스시장은 좋은 판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안정성, 브랜드이미지, 자동차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 등 넘어야할 산은 많겠죠

 

현대 및 기아는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어느정도 정점에 올라와있다고 봅니다. 

e-GMP 플랫폼을 사용한 전기차가 좋은 반응을 보여주고있죠. 

(저도 EV6-GT 사고싶.....)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