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vesting34 Winner take all 승자 독식 Winner Take all (or Winner Takes it all?) 옛날 이야기 많은 대학생들이 그렇겠지만그때는 보통 가난하다. 먹고 싶은것도 많은데 돈은 없고...하고싶은것도 많은데 열정만 넘쳐나고... 그래서 나는 친한 동생 둘과 모여서쓰리룸에서 함께 동거를 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원룸에서 자취를 했었지만동생들과 크게 마찰도 없었고나 포함 셋다 모두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았기 때문에이런 선택이 꽤나 만족스러웠다. 함께 월세를 나누어서 내면 월 지출도 줄어들고각 학과가 다른 셋이 모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면다양한 아이디어나 새로운 것들을 배울수 있는좋은 기회가 되었다. 그중 산업공학과를 다니던 동생이이야기해준 말중 하나가 'Winner take all' 사실 Winner take it .. 2025. 1. 25. [종목] 하이트 진로 최근에 같이 주식 이야기를 하는 형이 뜬금없이 하이트진로 차트를 보내면서 본인의 매수를 알려왔습니다. 차트를 보니 생각보다 꽤 많이 빠져있었습니다. 3월28일 기준으로 차트를 한번 보면 많이 빠졌네요... 작년쯤에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꽤 많이 올라서 그때 한번 수익을 봤던 종목이긴 합니다. 다만 그때 전량 매도후에 따로 신경을 안쓰고 있었는데...꽤 많이 빠졌습니다. 최근 주가가 전반적으로 조금씩 상승하고있는데 그에반해 많이 빠진게 보입니다. 간단하게 재무를 한번 보겠습니다. 12월 영업이익이 많이 줄었습니다. 추석과 연말효과를 보지못했나봅니다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가 났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21년에 비해서는 당기순이익은 증가했고 영업이익 및 매출은 22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배당은 22년 950원이었.. 2023. 3. 29. 저축은행 PF대출 확인 방법, 저축은행 PF 및 부동산 대출 확인 방법 지난번 포스팅에서 BIS 비율 및 고정이하여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최근에 금리가 오르면서 많은 저축은행등이 파킹통장이라고 하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고금리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저도 지난번에 웰컴저축은행에서 파킹통장을 만들어서 남는 돈을 조금씩 넣고 있습니다. 지금은 3.8%인데 찾아보니 다른 은행에서는 5%대 상품도 나와있네요. 이건 다음포스팅 때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아무튼 웰컴 저축은행에 파킹통장을 만들어서 다달이 이자를(치킨값정도지만..) 받고 있는데, 최근 PF 관련된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금리상승과 맞물려서 저축은행의 안전성을 볼 때 PF관련 대출항목도 살펴보면 좋겠다 싶었습니다. 1 금융권 은행들이야 파산위험은 적겠지만 2 금융권 등의 저축은행은 고금리를 주는 대신 이런 부분.. 2023. 1. 9.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 , BIS 비율 뜻 지난번에 저축은행 안정성에 대해 가볍게 살펴봤습니다. 주요하게 살펴볼 항목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과 BIS비율을 봐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https://investingeng.tistory.com/56 저축 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 BIS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법 / 저축은행예금 / 저축은행적금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 많은 은행 및 저축은행들이 예금 및 적금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1 금융권의 안정성이야 어느 정도 보장되어있지만 그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investingeng.tistory.com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8% 미만, BIS비율은 8% 이상이 되면 기본적인 안정성은 확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뭔지, BIS비율은 무슨 뜻인지 확인해 봅.. 2023. 1. 1. [삼프로TV정리] 22.12.28 경기침체 3년이상 간다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최근에 업무와 개인적인 일에 치여....다시금 블로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거의 한 달 이상 비었네요 ㅠ 그동안 계좌는 와장창창....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운데, 과연 이 금리 상승의 끝은 어디일지, 그리고 주식시장은 언제쯤 좋아질지,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님의 말씀을 들어봅시다. https://youtu.be/cWeF6ItkFv4 금리, 환율과 코스피의 관계 22년 주식시장의 변화 키워드 : 연준의 통화정책, 킹달러 23년은? 금리상승과 함께 코스피 하락, 내년 미국채 시장을 보지 않을 수 없다. 약세장의 마무리와 강세장의 시작을 무엇으로 확인할 수 있나? → 금리 약세장의 마무리, 그리고 강세장의 전환은? 시장이 금리에 의존적인 성향이 강하다 파란색 화살표 이후 주가의 상승추세가 보인다 금리가 .. 2022. 12. 28. 저축 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 BIS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법 / 저축은행예금 / 저축은행적금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 많은 은행 및 저축은행들이 예금 및 적금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1 금융권의 안정성이야 어느 정도 보장되어있지만 그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저축은행들은 금리를 높게 받으면 좋긴 하겠지만, 안정성에 있어서 조금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대부분 은행들이 예금자보호 5000만원의 기본적인 안전장치는 확보하고 있지만 그래도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좀 번거롭기도 하고...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죠. 최근에 레고랜드 사태 때문에 PF 관련 이슈가 계속 불거져 나오고 있어서 1 금융권이 아닌 2 금융권에 내 돈을 예치하는 경우 해당 은행이 안전한 지를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웰컴저축은행에 파킹 통장을.. 2022. 11. 21. [삼프로TV정리] 22.11.12. 미국의 망설임에 시장은 환호 - 이선엽 부장 삼프로에 많은 분들이 나오시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선엽 부장님의 깔끔한 진행과 명확한 가이드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자꾸 이선엽 부장님의 영상 정리를 가지고 옵니다. 얼마 전 금리인상과 CPI 발표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의견을 한번 보시겠습니다. https://youtu.be/xU2UFzDl3DM 물가 상승의 끝? 하락 시작? 고물가 고착화에 대한 우려 해소, 근원물가도 함께 하락 연준이 지속해온 긴축에 대한 효과가 드러난 첫번째 케이스 다음 달과효과는 이것보다 더 클것이다. 의료서비스+중고차 가격이 큰역할을 했다. 12월 PC물가도 예상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선행지표인 주택가격이 하락하고있기때문에, 후행지표인 주거비도 하락할 수 있다. 23년 초부터 물가 하락폭이 가속화될 것이다. 물가.. 2022. 11. 13. [부읽남] 22.11.03 위기의 세계 경제, 23년부터 생전 처음 겪는 가난이 온다. by 김광석 교수 / 내핍의시대, 금리 인하 시점, 인플레이션, 물가상승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언제쯤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고, 고물가 속의 2023년은 어떤 해가 될지 예상해보는 김광석 교수님의 코멘트를 들어보겠습니다. 원본 영상은 여기 있습니다. https://youtu.be/rjySR1FaFQM Great Recession 코로나 때빠졌다 급등한 V형 침체가 아니다. 23년은 장기침체의 초입, 그레이트 리세션의 시작 23년은 내핍의 시대 : 가난한 상황을 이겨내야 하는 시대 가계: 금리 상승 고정 or 하락 기업 : 특정 사업조정 → 중소/중견기업의 위기 경기침체의 강도? 100 구간 아래가 침체구간, 선행지수이기 때문에개월 이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직은 침체구간이 시작되지 않았다. 본격적인 침체의 시작과 체감은 23년부터 시작될 것 미국 경제 중앙은행의.. 2022. 11. 8. [삼프로TV정리] 22.10.29 시진핑 3연임 중국경제 - 찐링 중국주식전문가 최근 시진핑 3 연임이 결정된 중국 당대회의 결과를 보고 이 결과가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중국사람의 입장에서 본 3 연임과 현재 중국 상황, 앞으로의 전망 등을 이야기한 영상입니다. 본영상은 아래 https://youtu.be/4FJksB6T6WM 정리는 여기 1. 중국증시 연초부터 지속적인 하락세 언제 반등할 수 있을까? 에 대한 우려 2. 시진핑 3 연임에3연임에 대한 관점 찐링의 관점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제제 및 견제가 강화된 상황 당대회 내용 : 미국제제에 대한 대응 과거 : 고성장 → 고품질로의 방향성 현재 : 고품질에 대한 이야기만 강조, 과학기술, 부가가치기술 등 대만에 대한 스텐스도 강한 입장 중국 입장에서합심과 내부단결을 강조 3. 미국의 스텐스 중국 반도체.. 2022. 10. 3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