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3프로TV정리] 달러강세, 어떻게 대응하나 - 김학균 센터장

by 공돌이0910호 2022. 9. 4.
반응형

 

저는 전공이 공학이기때문에 사실 경제나 주식관련된 부분을 공부하는데 쉽게 와닿지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투자자분들께서

어떤 이슈에 대한 해석을 할때 확실한 백그라운드나 지식을 알고 풀어내기는 쉽지 않는 부분입니다.

저한테 대표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환율과 채권에 대한 부분인데..

들을땐 그렇구나~ 하다가

또 후에 돌아보면 뭐지? 하게됩니다

 

 저만그런거아니죠......?ㅋㅋㅋㅋㅋㅋ

 

참고로 최근에 엄청난 고환율은 다들 알고계실겁니다..

 

뭐야 왜 아르테미스가 달에 못가고 환율이 달로 가고있냐...

 

지난달 8월26일 삼프로에서 달러강세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간략히 정리해봤습니다.

아직 뭐 이해가 잘 안되는부분도 많지만...

 

https://youtu.be/bYwzu2NyldM

 

 

1. 인플레이션 관련

인플레이션은 심리적인 부분이 있다.

올해 가을 (9 FOMC) 미국연준의 태도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자.

 

2. 달러강세의 영향

원화뿐 아니라 유로/엔도 약세.

미국인의 해외 구매력이 강해짐.

한국입장에서는 전반적인 생활비용이 높아진다.

 

3. 기축통화국/기축통화의 조건

기축통화가 되려면 돈을 많이 풀리고 사용가능해야한다 -> 해외에서 물건을 사야함.

경상수지 적자를 감내할만큼의 체력이 필요.

무상원조를   있을정도가 되어야함 (2차대전 이후 마샬 플랜 - 돈을 원조했음).

 

4. 달러강세의 원인?

달러가 강한이유 : 유럽/일본에 비해 미국경제력이 강하다 -> 금리가 높아도 버틸 있는 체력이 있다.

미국이 풀어낸 달러는 어디로갔나, 환율이 내려가야하는거아닌가? : 미국내에서 금리가 내려간다.

달러-원화의 교환비율은 다른 문제이다.

 

5. 주식투자?

미국의 기술주는 비싸다 하지만 길게보면 미국주식을 가지고가는게 좋다.

배당주도 좋은 선택.

개인적(김학균 센터장)으로는 성장주보다는 전통적인 주식 선호.

 

6. 그 외

지금의 원화약세는 조금 의외이다. 원화뿐 아니라 다른 통화들도 약세.

2-3년에 한번씩 원화약세가 발생한다 - 원화가 주변부 통화이기때문.

자산의 일부로 달러를 보유하는것도 좋은옵션.

적립식 투자를 권장.

 

 

 

예전부터 많은 분들이 적립식 투자 및 달러보유에 대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어느정도 권장하고있었습니다만

그때 쳐다보기만 하다가 이제와서 보면, 아 그때 좀 살껄... 하는 생각이 드는것은..

그때 대비가 되지 않아서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때 공부좀 할걸!!!!

 

개인적으로는 이제 와서 달러를 사기에는 좋은 시점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지금부터 미국주식에 대한 투자준비나, 혹은 달러 매입에 대한 대비정도는 해서

추 후에 다가올 기회를 놓치지 않으면 좋을듯 합니다.

 

흠....한 1년정도 이후에 인플레이션이 조금 안정되고 물가가 잡히면

괜찮지않을까 싶습니다. 정확한 때는 아무도 모르겠죠.

지금 할 수 있는건 준비하는 정도라고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