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언제쯤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고, 고물가 속의 2023년은 어떤 해가 될지 예상해보는 김광석 교수님의 코멘트를 들어보겠습니다.
원본 영상은 여기 있습니다.
Great Recession
코로나 때빠졌다 급등한 V형 침체가 아니다.
23년은 장기침체의 초입, 그레이트 리세션의 시작
23년은 내핍의 시대 : 가난한 상황을 이겨내야 하는 시대
- 가계: 금리 상승 고정 or 하락
- 기업 : 특정 사업조정 → 중소/중견기업의 위기
경기침체의 강도?
100 구간 아래가 침체구간,
선행지수이기 때문에개월 이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직은 침체구간이 시작되지 않았다. 본격적인 침체의 시작과 체감은 23년부터 시작될 것
미국 경제
중앙은행의 목표가 물가안정이기때문에 다른 항목을 포기하고있다.
물가안정 외 다른것들을 포기하지 않으면 물가상승을 멈출 수 없다 → 스테그플레이션 우려
물가안정 이후 부양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23년은 위기는 아니지만 혹독한 상황
미국
- 22년 1.6
- 23년 1.0
유로
- 22년 3.1
- 23년 0.5
선진국 위주로 어려워지는 상황이 올것이다.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
환율 절상율 -8% 기준 : 우리나라는 저위험군
경기침체 가운데도약하는 나라는?
동남아 국가를주목
낮은 물가상승과 높은 성장을 예상하는 나라들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투자관점
아시아 신흥국 ETF에 투자해보자
미국의 IRA로 인해 탈중국화 가속, 생산기지가 중국 → 아시아
인플레는 정점인가?
수입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선행한다.
그래프를 바탕으로 할때 수입물가가 하락세에 있으므로 소비자물가는 정점을 찍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정점을 찍었다는것이 저물가로 간다는것은 아니다
정점을 찍었지만 여전히 고물가는 지속될 것
근원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있다
국제유가도 고유가 흐름을 유지하고있는 추세
만약 OPEC의 감산이 실행되면 유가 급등
물가 정점론 vs 정점이 아니다.
정점론을 지지하는 근거가 더 많다.
기준 금리 하락 예상시점
미국이 먼저 금리를 올리기시작하자.
유럽이 따라서 올리고있다.
금리인하는 사실상 어려워보인다.
전쟁의 종식 or 다른 외제적 상황이 물가안정을 확인시켜준다면
금리인하가 더 빠르게 올 수 있다.
목표물가 2%는 저물가 시대 때의이야기이다 → 선진국 케이스
고물가 시대에서가 아니라 그것보다 높은 기준치
목표물가 3%의 뉴노멀이 올것인가
금리인하의 정당성을 위해서 목표물가를 올릴 수 있다.
: 금리인하가 다가온다는 시그널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는 아주 좋은 상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