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TIP

저축 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 BIS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법 / 저축은행예금 / 저축은행적금

by 공돌이0910호 2022. 11. 21.
반응형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 많은 은행 및 저축은행들이 예금 및 적금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1 금융권의 안정성이야 어느 정도 보장되어있지만

그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저축은행들은

금리를 높게 받으면 좋긴 하겠지만, 안정성에 있어서 조금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대부분 은행들이 예금자보호 5000만원의 기본적인 안전장치는 확보하고 있지만

그래도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좀 번거롭기도 하고...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죠.

 

최근에 레고랜드 사태 때문에 PF 관련 이슈가 계속 불거져 나오고 있어서

1 금융권이 아닌 2 금융권에 내 돈을 예치하는 경우

해당 은행이 안전한 지를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웰컴저축은행에 파킹 통장을 하나 만들어서 이번 달에 첫 이자를 받았는데

이와 관련해서 저축은행들의 안정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금융 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에 접속합니다. 

https://fine.fss.or.kr/main/index.jsp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2. 메인 화면 메뉴 중 오른쪽 하단, 금융회사  → 금융회사 핵심 경영지표로 들어갑니다.

우측 하단에 있습니다.

 

3. 상단 카테고리에서 저축은행을 고르고 자료검색은 가장 최신자료로 적용해서 검색을 누릅니다.

오늘 (11월 21일) 기준으로 6월까지의 데이터가 올라와있고 3개월 단위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 외에 다른 금융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주요 경영지표에서 BIS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보시면 됩니다.

이 두가지 KPI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 BIS 비율은 8% 이상
  •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8% 이하

가 되어야 합니다. 

 

이범 위를 벗어난 경우는 가입에 신중하셔야 합니다.

아래 두 은행의 경우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아주 높습니다. 해당 은행이 발행한 채권에 문제가 많나 봅니다. 

이 두 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굉장히 높습니다.

 

제가 이번에 파킹 통장을 만든 웰컴 저축은행을 보겠습니다.

웰컴 저축은행의 경우 BIS는 조금 낮지만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8%의 절반 수준입니다. 

두 KPI모두 범위 안에 들어가니 그래도 조금은 안심이 됩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BIS가 다른 은행에 비해 아주 높은 수준은 아니라 조금 신경 쓰이긴 합니다만

다행히 예치해놓은 금액이 5000만 원을 넘지는 않습니다. (사실 천만 원도 안됩니다...ㅋㅋ) 

 

BIS비율이 아주 만족스럽진 않지만...

 

간단하지만 본인의 돈을 잘 지킬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니 다들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BIS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어떤 뜻인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