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삼프로TV정리] 22.12.28 경기침체 3년이상 간다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by 공돌이0910호 2022. 12. 28.
반응형

최근에 업무와 개인적인 일에 치여....다시금 블로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거의 한 달 이상 비었네요 ㅠ

그동안 계좌는 와장창창....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운데, 과연 이 금리 상승의 끝은 어디일지,

그리고 주식시장은 언제쯤 좋아질지,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님의 말씀을 들어봅시다.

 

https://youtu.be/cWeF6ItkFv4

 

금리, 환율과 코스피의 관계

 

22년 주식시장의 변화 키워드 : 연준의 통화정책, 킹달러

23년은?

원화에 대한부분은 놀랍게도 비슷합니다. 외인들의 힘이 그만큼 강하다고 봐도 되겠죠

금리상승과 함께 코스피 하락, 내년 미국채 시장을 보지 않을 수 없다.

 

약세장의 마무리와 강세장의 시작을 무엇으로 확인할 수 있나? → 금리

 

약세장의 마무리, 그리고 강세장의 전환은?

과연 이번에는 저 삼각형이 어느시점에 오게될까요

시장이 금리에 의존적인 성향이 강하다

파란색 화살표 이후 주가의 상승추세가 보인다

 

금리가 하락해야 한다

 

연준의 근원물가 가이드에 맞춰볼 수 있어야 한다

금리의 하락은 시장과 불확실성 등이 결정하게 된다

 

시점을 예단하지 말고 금리하락추이에 맞춰서 대응하는 것이 좋다

 

소프트데이터 : 설문조사, 소비자 신뢰지수 등이 최악을 찍을 때 주가가 바닥일 때와 무관하지 않다.

제조지수가 약 43을 일 때 유가가 하락하고 저점을 찍을 때 가 매수시점이 아닐까?

 

기업의 어닝, 즉 실적발표에 대한부분도 고려해야한다고 합니다.

1분기 실적시즌이 나오는 4~5월에 위와 같은 상황이 나오면 강세장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V형반등이 나올 것이냐? 박스권에서 머물 것이냐?

경기침체가 24년 이후 25년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졌을 때 주식시장으로의 돈이 유입되기 때문에 주가상승을 견인한다.

경기가 좋아져서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V형 반등은 어려울 것이고 점진적인 상승(나이키형)을 예상한다

 

장기적인 관점입니다만, 경향성이 잘 보입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 이후 물가가 잡히면 주식 수익률이 높았다

 

과거보다 큰 퍼포먼스는 기대하기 어렵겠지만 이번 인플레이션이 안정화되면 강세장이 전개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