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프로에 많은 분들이 나오시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선엽 부장님의 깔끔한 진행과 명확한 가이드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자꾸 이선엽 부장님의 영상 정리를 가지고 옵니다.
얼마 전 금리인상과 CPI 발표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의견을 한번 보시겠습니다.
물가 상승의 끝? 하락 시작?
고물가 고착화에 대한 우려 해소, 근원물가도 함께 하락
연준이 지속해온 긴축에 대한 효과가 드러난 첫번째 케이스
다음 달과효과는 이것보다 더 클것이다.
의료서비스+중고차 가격이 큰역할을 했다.
12월 PC물가도 예상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선행지표인 주택가격이 하락하고있기때문에, 후행지표인 주거비도 하락할 수 있다.
23년 초부터 물가 하락폭이 가속화될 것이다.
물가에 대한 우려는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는 시기가 오고있다.
긴축 정점에 대한 기대
최종 금리 예상이 4.75~5% 타깃으로 변화됨, 시장에서는 4.5~4.75 수준 예상
달러의 강세는 정점을 찍었다.
6% 금리인상 우려 및 이에 대한 반론의 근거
6% 금리인상우려?
대다수는 동의하지않는다.
6%는 모델의 예측치, 고용이 중요한 KPI로 사용되는 모델일 때일때 6% 예상
통계모델의 함정
좋을 때더 좋게 보고 안좋을때 더 안좋게 예측한다.
첫 번째 반론 : 금융 안정성
채권시장, 유동성감소 불안정성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이 처음 나옴
물가 고착화보다 더 무서운것이 금융 불안정성
미국채위기론, FED에서 다음위기가 시작되고있다고 언급
미국의 국채를 사주는 주체가 사라지고있다.
대형기관들이 매수를 꺼림
연준도 장기국채를 사지않음
일본 연기금과 생명보험회사가 미국채시장에서의 철수가능성
→ 금융위기에 대한 언급
금리인상에 대한 위험도 조절이 필요하다
최종 금리를약 4.5%로 타겟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정책은 5.25% 이상을 반영중
: 급격하게 올리다보니 실제 효과는 현재 금리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두 번째 반론 : 고용 선행지표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전에 있던 고용수준으로 회복중
여가/숙박 등은 아직 조금 남아있다
코로나 때컴퓨터, 가구 등 거리두기로 인한 관련 수요가 증가했다가 급감한것처럼
미국의 서비스업도 코로나에 대한 반발로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내년 23년초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
물가가 내리고있고, 그 이후에 고용도 완화될것이다.
시장의 안정은 이전보다 높아질 것이다.
세 번째 반론 : 일부 선진국의 금리 인상 조절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다른나라들이 함께 금리를 올렸다 (외화유출을 막기위해)
하지만 일부 국가들이 일부 상승의 제한을 두고있다.
주택담보대출이 변동금리인 국가들
금융위기로 갈 가능성을 제한하기위해 미국의 금리 상승을 따라가지 않는다.
금리격차로 인한 외환위기 우려
금융위기 or 외환위기
차라리 외환위기가 낫다.
이제 미국도 금리를 올릴 때 다른 국가를 신경 써야 하는 입장이 되고 있다.
미국만 금리를 올리고 다른 국가들이 못 따라갈 경우 금융위기가 올 수 있기 때문
이를 종합해볼때
미국 기준금리 4.5% 이상은 쉽지 않을 것이다.
23년의 경제 예상
23년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 존재
중국의 코로나 출구전략
내년 3월시진핑의 3연임 시작
식당 상점 등이 파산 → 내년까지 방역을 지속해나가기 어려울듯 하다
미국 경기침체 시점 + 중국의 위드 코로나가 온다면
한국의 수출시장에 대한 완충역할을 한다
중국의 위드코로나 효과가 클것이다.
중국 내국인이 화이자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면
내년에 중국 위드 코로나가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게임 체인저가될 수 있다.
중국이 살아날 수 있냐 없냐에 대한 큰 임팩트를 줄것이다.
미국의 다우지수는 추세전환을 했다.
나스닥은 아직도 바닥을 보고있다.
빅 테크를제외한 많은 기업들이 상당히 오르고있다.
'Inv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프로TV정리] 22.12.28 경기침체 3년이상 간다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0) | 2022.12.28 |
---|---|
[삼프로TV정리] 22.10.29 시진핑 3연임 중국경제 - 찐링 중국주식전문가 (0) | 2022.10.31 |
[삼프로TV정리] 올라도 찜찜한 시장, 반등의 근거가 부족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0) | 2022.10.25 |
[3프로TV정리] 22.10.23 한국의 가계부채 - 김효진 위원 (0) | 2022.10.23 |
[언더스탠딩] 스벅10%, 메가커피50% 커피 이익률의 비밀 - 이재용 회계사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