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삼프로TV정리] 22.11.12. 미국의 망설임에 시장은 환호 - 이선엽 부장

by 공돌이0910호 2022. 11. 13.
반응형

삼프로에 많은 분들이 나오시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선엽 부장님의 깔끔한 진행과 명확한 가이드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자꾸 이선엽 부장님의 영상 정리를 가지고 옵니다.

 

얼마 전 금리인상과 CPI 발표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의견을 한번 보시겠습니다.

 

https://youtu.be/xU2UFzDl3DM

 

물가 상승의 끝? 하락 시작?

이제 드디어 8% 대에서 벗어났습니다.

고물가 고착화에 대한 우려 해소, 근원물가도 함께 하락

 

연준이 지속해온 긴축에 대한 효과가 드러난 첫번째 케이스

다음 달과효과는 이것보다 더 클것이다.

 

의료서비스+중고차 가격이 큰역할을 했다.

12월 PC물가도 예상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선행지표인 주택가격이 하락하고있기때문에, 후행지표인 주거비도 하락할 수 있다.

 

23년 초부터 물가 하락폭이 가속화될 것이다.

물가에 대한 우려는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는 시기가 오고있다.

 

긴축 정점에 대한 기대

다행히 최종금리는 5%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종 금리 예상이 4.75~5% 타깃으로 변화됨, 시장에서는 4.5~4.75 수준 예상

달러의 강세는 정점을 찍었다.

 

6% 금리인상 우려 및 이에 대한 반론의 근거

6%는...어디서 나온이야기야...?

6% 금리인상우려?

대다수는 동의하지않는다.

6%는 모델의 예측치, 고용이 중요한 KPI로 사용되는 모델일 때일때 6% 예상

 

통계모델의 함정

좋을 때더 좋게 보고 안좋을때 더 안좋게 예측한다.

 

첫 번째 반론 : 금융 안정성

채권과 유동성에 대한 언급이 나왔네요. 금리를 그렇게 올리니...ㅋㅋㅋㅋ

채권시장, 유동성감소 불안정성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이 처음 나옴

물가 고착화보다 더 무서운것이 금융 불안정성

 

미국채위기론, FED에서 다음위기가 시작되고있다고 언급

 

미국의 국채를 사주는 주체가 사라지고있다.

대형기관들이 매수를 꺼림

연준도 장기국채를 사지않음

일본 연기금과 생명보험회사가 미국채시장에서의 철수가능성

→ 금융위기에 대한 언급

일본이 참...뭐같은데 돈은 많아...

금리인상에 대한 위험도 조절이 필요하다

최종 금리를약 4.5%로 타겟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정책은 5.25% 이상을 반영중

: 급격하게 올리다보니 실제 효과는 현재 금리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두 번째 반론 : 고용 선행지표

파란색이 고용추세지수 입니다. 저기 끝에 살짝 꺽인거 보이세요....??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전에 있던 고용수준으로 회복중

여가/숙박 등은 아직 조금 남아있다

 

코로나 때컴퓨터, 가구 등 거리두기로 인한 관련 수요가 증가했다가 급감한것처럼

미국의 서비스업도 코로나에 대한 반발로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내년 23년초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

 

물가가 내리고있고, 그 이후에 고용도 완화될것이다.

시장의 안정은 이전보다 높아질 것이다.

 

세 번째 반론 : 일부 선진국의 금리 인상 조절

그...그만좀...올리라고.....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다른나라들이 함께 금리를 올렸다 (외화유출을 막기위해)

하지만 일부 국가들이 일부 상승의 제한을 두고있다.

주택담보대출이 변동금리인 국가들

금융위기로 갈 가능성을 제한하기위해 미국의 금리 상승을 따라가지 않는다.

 

금리격차로 인한 외환위기 우려

금융위기 or 외환위기

 

차라리 외환위기가 낫다.

 

이제 미국도 금리를 올릴 때 다른 국가를 신경 써야 하는 입장이 되고 있다.

미국만 금리를 올리고 다른 국가들이 못 따라갈 경우 금융위기가 올 수 있기 때문

 

이를 종합해볼때

미국 기준금리 4.5% 이상은 쉽지 않을 것이다.

 

23년의 경제 예상

23년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 존재

 

중국의 코로나 출구전략

내년 3월시진핑의 3연임 시작

식당 상점 등이 파산 → 내년까지 방역을 지속해나가기 어려울듯 하다

 

미국 경기침체 시점 + 중국의 위드 코로나가 온다면

한국의 수출시장에 대한 완충역할을 한다

 

중국의 위드코로나 효과가 클것이다.

중국 내국인이 화이자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면

내년에 중국 위드 코로나가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게임 체인저가될 수 있다.

중국이 살아날 수 있냐 없냐에 대한 큰 임팩트를 줄것이다.

 

미국의 다우지수는 추세전환을 했다.

나스닥은 아직도 바닥을 보고있다.

빅 테크를제외한 많은 기업들이 상당히 오르고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