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세션을 예상하고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는 가운데,
부채에 대한 이야기도 조금씩 나오고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빚 감당하기가 쉬워지지 않죠.
그렇다고 부채가 없이 사는건 레알 찐 부자......
저도 내년에 전세자금 대출이 갱신될 텐데.. 조금 걱정이긴 합니다.
일단 삼프로에서 나온 한국 가계부채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살펴봅시다
과거에도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있었다.
- 미국 : 2008년 이후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가계부채가 줄어듦
- 우리나라 : 기초자산의 문제, 이자부담, 대출자의 신용 등급 변화 등의 영향, 금리인상의 속도를 낮추거나 인하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1. 가계부채가 한국경제 위기를 가지고올 것인가?
고신용은 840점 이상, 저신용은 664점 이하
고소득은 상위 30%, 저소득은 하위 30%
저신용, 저소득자가 가지고 있는 부채는 전채 대출액중 낮은 비율,
고신용 부채비율이 점점 늘고있다. 대출 규제, 정책에 의한 효과
다만 전체 대출액의 절대금액이 늘어나는것은 막지못했다.
금융 건전성이 훼손될 가능성은 낮다.
2. 소비와 이자
지난 2-3년간 소비는 좋았다. (오픈런, 백화점 소비 증가 등)
팬데믹 이후 이자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내년에도 70-75조원정도로 예상
이자부담/소비 : 약 8% (100만 원을만원을 소비한다고 하면 이자로 8만원 지출)
3. 한국경제 23년~24년 예상
23년에는 취업자수 증감이 급감할것으로 예상
GDP : 23-24 분기 0.5%성장예상0.5% 성장 예상, 연간성장 약2%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늘고있음 (미국 등의 중심으로)
해외 직접투자/국내설비투자가 2000년대 약 5% -> 최근 약15%
국내 성장율이 낮아지는 이유중 하나
추후 분석시 이러한 해외공장에서 생산되는 부분도 고려해야하는것 아닐까?
'Inv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프로TV정리] 22.10.29 시진핑 3연임 중국경제 - 찐링 중국주식전문가 (0) | 2022.10.31 |
---|---|
[삼프로TV정리] 올라도 찜찜한 시장, 반등의 근거가 부족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0) | 2022.10.25 |
[언더스탠딩] 스벅10%, 메가커피50% 커피 이익률의 비밀 - 이재용 회계사 (0) | 2022.10.19 |
[3프로TV정리] 고개숙인 카카오 - 권순우 기자 (0) | 2022.10.18 |
[3프로TV정리] 22.10.11. 코로나 거품이 꺼지고 시장은?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