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부읽남] 외환위기?경제폭락? 숫자로 확인 - 김광석 교수

by 공돌이0910호 2022. 9. 21.
반응형

삼프로 외에 제가 가끔 보는 유튜브 채널중 부읽남 채널이 있습니다.

가끔 정신교육도 시켜주시고....ㅋㅋㅋㅋㅋ

사실 부동산 위주의 채널이라서 삼프로만큼 자주보진 않지만 이번에 좋은 내용이 있어서 보다가 정리해봤습니다.

 

여기저기서 외환위기아니냐, 경제침체아니냐 뭐 이런 이야기가 많이 들리는것 같은데

그런 우려에 대해 데이터와 이해하기 쉬운 근거로 말씀해주셔서 듣기 편했습니다.

 

https://youtu.be/XXcTmKdJvyA

 

요악입니다.

 

 

외환위기? 단기부채, 외환보유고 등으로 진단한다.

한국은행 : 외환위기는 없다 Why?

 

'무역적자가 역사상 최고치이다', '5개월 연속 무역적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 지속되면 위험하지만 왜 무역적자 이야기가 계속해서 나오는지에 대해 알아봐야한다.

  • 무역적자 : 총 수입 > 총 수출

 

1. 달러강세와 주변국

달러강세이지만 우리나라보다 일본 등 다른나라들의 환율절하가 더 크다.

우리나라 수출품과 유사한 상품을 수출하는 나라들에 비해 경쟁력 감소 -> 수출부진

 

2. 달러 강세로인한 무역신장율 감소

원자재가격 상승 + 달러강세

수입보다는 내제화로의 방향으로 돌림 (국산사용) -> 수출부진

이런상황이 외환보유고를 낮추는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외환보유액의 절대값이 이미 높기때문에 외환위기는 올 확률이 아주 낮다.

 

+ 값이면 받아야할 돈, -면 갚아야할 돈입니다.

채권 : 받을것

채무 : 갚아야할것, 우리나라는 순채권국

 

IMF 등에서 국가별 단기외채 (약3개월) 를 주시하고있다. -> 단위외채가 클수록 위험하다.

우리나라 단기외채는 2012년 이후 50$를 넘지않는 수준입니다.

우리나라는 순 채권국 + 단기외채 비중이 높지않다.

외환과 관련해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실질 경제성장율은 아직 +값이지만 내년엔 꽤 낮아질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실질 성장률

  • IMF : -5.1%
  • 2008년 위기 : 0.8%
  • 코로나 : -0.7%

3. 외환위기? 경제위기? 

우리나라가 '외환위기'이다 라는 지표는 찾기힘들다.

 

BUT, 버틸 체력은 있지만 장기화된다면…?

지금보다 더 강한 달러강세가 온다고하면 수출이 더 어려워지고 수입이 더 늘거나 유지된다면…?

(원자재 감소 or 달러강세 약화이면 회복할 수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

유가가 더 오르진 않겠지만 여전히 고유가시대)

 

4. 무역적자의 영향

외환위기 말고 경제위기는 올 수 있다.

  • 기업의 생산감소, 설비투자 감소, 신사업투자 감소, 일자리 충격
  • 소비자 소비성향 감소
  • 대출 상환이자 증가, 소비여력 감소

외환위기와 경제위기는 다르다.

올해까지는 2% 경제성장율

23년은 조금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내핍의 해가 아닐까, 고물가 + 저성장 = 스태그플레이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