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3프로TV정리] 변동성 + 불확실성, FOMC 주목 - 박병창 부장

by 공돌이0910호 2022. 9. 19.
반응형

이번 FOMC에서 다시금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100BP냐 75BP냐의 결정과

수많은 경기침체의 조짐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오고갈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박병창 부장님께서 요약해주신 대략적인 이슈와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

워낙 PPT에 간략하게 잘 나와있어서 거의 카피/페이스트 수준이네요 ㅋㅋ

 

https://youtu.be/ZbQYcu3LEMA

 

1. 미국시장 흐름

75BP or 100BP 인상예상

3주연속 하락,CPI 8.3% 발표 경계감

원화 약세 - 16 당국 개입

10월에 FOMC회의가 없음, 지난 8 회의가 없을때 짧게 반등이 나왔음

 

2. 국내시장 흐름

5주연속하락, 미국대비 상대강세

지난주 연기금 1861 순매수

외국인 매도새가 강하지않았음

대형주 약세, 섹터/테마 차별적으로 강세

 

3. 기술적분석 - 미국 시장

직전 저점을 깨고 내려가느냐, 지지를 하느냐..? -> 금리인상 폭에 달려있다

75BP -> 2중저점일 가능성이 높다

100BP -> 저점을 깨고 내려갈 확률이 높다

지난 6월17일이 저점, 고점으로부터 나스닥 :-34%,  S&P500:-25% 하락

-> 9월16일 종가로부터 각 6, 7% 남겨놓은 상황, 새로운 뉴스가 나올 경우 뚫고 내려갈 수도

중기적으로 1 하락부터, 315,617 이후 동시만기일에서 반등하는 움직임이 보였다. 916일이 동시만기였다. 

23 4% 초과금리인상일 경우 추가하락 불가피 예상

 

4. 기술적분석 - 국내 시장

미국보다 길고 깊게 하락속에서 등락

1 11%폭락 4개월 등락, 613% 폭락 3개월째 등락

100BP 혹은 기준금리 고점을 상향하면 전저점 하락가능성이 높음

경기사이클 둔화 국면 -> 장기 박스권

 

5. 이슈

 

세계은행 : 지출억제보다는 생산확대 조치 필요 언급

골드만삭스 23년 GDP 하향조절

스마트폰 IT기기 수출급감

 

여러모로 쉽지않습니다. 이번에 75BP를 올린다고하더라도, 다음에 올리지 않는다는게 아니기때문에

많은분들이 경기침체 및 주식시장의 어려움을 이야기하는 가운데,

이런 상황에서 어떤 종목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봐야할지를 공부해봐야겠습니다.

이렇게 좋지않은 장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익내시는분들은 내시더라구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