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FOMC에서 다시금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100BP냐 75BP냐의 결정과
수많은 경기침체의 조짐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오고갈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박병창 부장님께서 요약해주신 대략적인 이슈와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
워낙 PPT에 간략하게 잘 나와있어서 거의 카피/페이스트 수준이네요 ㅋㅋ
1. 미국시장 흐름
75BP or 100BP 인상예상
3주연속 하락,CPI 8.3% 발표 후 경계감
원화 약세 - 16일 당국 개입
10월에 FOMC회의가 없음, 지난 8월 회의가 없을때 짧게 반등이 나왔음
2. 국내시장 흐름
5주연속하락, 미국대비 상대강세
지난주 연기금 1861억 순매수
외국인 매도새가 강하지않았음
대형주 약세, 섹터/테마 차별적으로 강세
3. 기술적분석 - 미국 시장
직전 저점을 깨고 내려가느냐, 지지를 하느냐..? -> 금리인상 폭에 달려있다
75BP -> 2중저점일 가능성이 높다
100BP -> 저점을 깨고 내려갈 확률이 높다
지난 6월17일이 저점, 고점으로부터 나스닥 :-34%, S&P500:-25% 하락
-> 9월16일 종가로부터 각 6, 7% 남겨놓은 상황, 새로운 뉴스가 나올 경우 뚫고 내려갈 수도
중기적으로 1월 하락부터, 3월15일,6월17일 이후 동시만기일에서 반등하는 움직임이 보였다. 9월16일이 동시만기였다.
23년 4% 초과금리인상일 경우 추가하락 불가피 예상
4. 기술적분석 - 국내 시장
미국보다 더 길고 깊게 하락속에서 등락
1월 11%폭락 후 4개월 등락, 6월13% 폭락 후 3개월째 등락
100BP 혹은 기준금리 고점을 상향하면 전저점 하락가능성이 높음
경기사이클 둔화 국면 -> 장기 박스권
5. 이슈
세계은행 : 지출억제보다는 생산확대 조치 필요 언급
골드만삭스 23년 GDP 하향조절
스마트폰 및 IT기기 수출급감
여러모로 쉽지않습니다. 이번에 75BP를 올린다고하더라도, 다음에 올리지 않는다는게 아니기때문에
많은분들이 경기침체 및 주식시장의 어려움을 이야기하는 가운데,
이런 상황에서 어떤 종목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봐야할지를 공부해봐야겠습니다.
이렇게 좋지않은 장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익내시는분들은 내시더라구요.
'Inv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프로TV정리] 인플레와의 전쟁, 9월22일 FOMC / - 김효진 위원 (3) | 2022.09.23 |
---|---|
[부읽남] 외환위기?경제폭락? 숫자로 확인 - 김광석 교수 (0) | 2022.09.21 |
[3프로TV정리] 변화의 미국과 우리의 대응 - 이선엽 부장 - IRA / 인플레이션감축법 / 투자촉진법 (1) | 2022.09.17 |
[Crypto] 바이낸스 + FTX + 부산시 디지털 금융허브 (2) | 2022.09.10 |
[3프로TV정리] 중국 전기차의 경쟁력 - 찐링 중국주 전문가 (1)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