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2

[삼프로TV정리] 22.12.28 경기침체 3년이상 간다 -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최근에 업무와 개인적인 일에 치여....다시금 블로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거의 한 달 이상 비었네요 ㅠ 그동안 계좌는 와장창창....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운데, 과연 이 금리 상승의 끝은 어디일지, 그리고 주식시장은 언제쯤 좋아질지,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님의 말씀을 들어봅시다. https://youtu.be/cWeF6ItkFv4 금리, 환율과 코스피의 관계 22년 주식시장의 변화 키워드 : 연준의 통화정책, 킹달러 23년은? 금리상승과 함께 코스피 하락, 내년 미국채 시장을 보지 않을 수 없다. 약세장의 마무리와 강세장의 시작을 무엇으로 확인할 수 있나? → 금리 약세장의 마무리, 그리고 강세장의 전환은? 시장이 금리에 의존적인 성향이 강하다 파란색 화살표 이후 주가의 상승추세가 보인다 금리가 .. 2022. 12. 28.
[부읽남] 22.11.03 위기의 세계 경제, 23년부터 생전 처음 겪는 가난이 온다. by 김광석 교수 / 내핍의시대, 금리 인하 시점, 인플레이션, 물가상승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언제쯤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고, 고물가 속의 2023년은 어떤 해가 될지 예상해보는 김광석 교수님의 코멘트를 들어보겠습니다. 원본 영상은 여기 있습니다. https://youtu.be/rjySR1FaFQM Great Recession 코로나 때빠졌다 급등한 V형 침체가 아니다. 23년은 장기침체의 초입, 그레이트 리세션의 시작 23년은 내핍의 시대 : 가난한 상황을 이겨내야 하는 시대 가계: 금리 상승 고정 or 하락 기업 : 특정 사업조정 → 중소/중견기업의 위기 경기침체의 강도? 100 구간 아래가 침체구간, 선행지수이기 때문에개월 이후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직은 침체구간이 시작되지 않았다. 본격적인 침체의 시작과 체감은 23년부터 시작될 것 미국 경제 중앙은행의.. 2022.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