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ing/TIP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 , BIS 비율 뜻

by 공돌이0910호 2023. 1. 1.
반응형

지난번에 저축은행 안정성에 대해 가볍게 살펴봤습니다.

주요하게 살펴볼 항목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과 BIS비율을 봐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https://investingeng.tistory.com/56

 

저축 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 BIS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법 / 저축은행예금 / 저축은행적금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 많은 은행 및 저축은행들이 예금 및 적금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1 금융권의 안정성이야 어느 정도 보장되어있지만 그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investingeng.tistory.com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8% 미만,

BIS비율은 8% 이상이 되면 기본적인 안정성은 확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뭔지, BIS비율은 무슨 뜻인지 확인해 봅시다.

 

1. 고정이하여신 비율

 

용어해설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64234&cid=50305&categoryId=50305 

 

고정이하여신

금융기관은 여신을 현 상태를 기준으로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구분한다. 고정 이하여신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을 말하며 부실채권(NPL)이라 부른다. 회수

terms.naver.com

 

여신, 즉 대출이 실행된 부분에 대해서 등급을 매기고, 그 등급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누는데,

 

정상 - 요주의 - 고정 - 회수의문 - 추정손실 

 

로 나눕니다.

여기서 고정, 회수의문추정손실 이 세 가지를 고정이하 여신이라고 합니다.

 

즉 은행입장에서 돈을 빌려줬는데

 

1. 회수가 불가능하거나(추정손실),

2. 손실이 예상되거나 (회수의문),

3. 담보를 통해서 회수가 가능한 것(고정)

 

을 고정이하여신이라고 합니다.

이 비율이 8%가 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은, 은행의 대출 중에 대출금회수에 리스크가 있는 비율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BIS 비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9678&cid=40942&categoryId=31829 

 

BIS 자기자본비율

BIS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국제결제은행)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1988년 7월 각국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 확

terms.naver.com

BIS는 어떤 KPI가 아니고 국제결제은행이라는 곳입니다.

거기서 은행의 안정성, 건전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 것 중 하나가 BIS 비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식은 위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 자본의 비율입니다.

즉 부실채권 등 위험자산대비 자기 자본이 얼마나 확보되어있느냐에 대한 비율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은행의 부실채권등 위험자산이 100억이라고 하면 적어도 8억은 자기 자본이 있어야

위기 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은행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입장에서는 BIS가 8% 이상이 되면 될수록 자기 자본의 비율이 높으므로 

위기상황에 조금 더 여유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에 파킹통장 및 예적금의 금리가 저축은행등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5000만 원 이하 예적금보호가 적용되긴 하지만

그 이전에 미리 각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음에는 PF 대출 관련 사항을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