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PF대출 확인 방법, 저축은행 PF 및 부동산 대출 확인 방법
지난번 포스팅에서 BIS 비율 및 고정이하여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최근에 금리가 오르면서 많은 저축은행등이 파킹통장이라고 하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고금리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저도 지난번에 웰컴저축은행에서 파킹통장을 만들어서 남는 돈을 조금씩 넣고 있습니다.
지금은 3.8%인데 찾아보니 다른 은행에서는 5%대 상품도 나와있네요. 이건 다음포스팅 때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아무튼 웰컴 저축은행에 파킹통장을 만들어서 다달이 이자를(치킨값정도지만..) 받고 있는데,
최근 PF 관련된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금리상승과 맞물려서 저축은행의 안전성을 볼 때
PF관련 대출항목도 살펴보면 좋겠다 싶었습니다.
1 금융권 은행들이야 파산위험은 적겠지만 2 금융권 등의 저축은행은 고금리를 주는 대신 이런 부분들을 잘 살펴보는 게 좋습니다.
다행히 대부분 은행들은 5000만 원 이하 금액의 예금자보호가 되긴 합니다만.....
예시로 제가 가입해놓은 웰컴 저축은행의 기본적인 공시사항 및 PF 관련 사항을
어떻게 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기본적인 자금조달 상황 및 BIS 기준 자기 자본 산출내역 등도 보입니다.
중소기업 대출비율과 그 아래 부동산 관련 테이블에서 부동산 PF 대출에 관한 사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도는 12,027억인데 그중 신용으로 6,356억 원이 대출로 나가있고 고정이하가 129억 원이 있네요.
연체액은 그보다 조금 높은 164억, 0.03%라고 나와있습니다.
부동산 관련 총연체액은 17,394억 중 338억 원으로 1.95%입니다.
다행히 PF대출 관련 연체율이 높지는 않습니다. 추후에 조금 지켜보면 좋을 듯합니다.
다른 저축은행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각 은행 홈페이지에 업로드된 공시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이 귀찮으시면 PDF에서 PF, 부동산 등의 키워드로 검색해보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은 큰 문제가 안 보이니 저는 한동은 웰컴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을 유지하고
추후에 다른 은행에서 더 높은 금리의 파킹통장을 하나 더 개설할 예정입니다.
다음에는 파킹통장 관련된 이야기를 조금 해보겠습니다. :)